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Stability of self-esteem has been conceptualized in terms of either long-term or short-termfluctuations / 이화여고2 부교재 Q.107
    부교재/이화여고2학년 2021. 10. 17. 16:36
    728x90
    반응형

    이화여고2학년

    2021학년도 2학기 중간고사
    시험범위 중

    부교재 Q.107 지문과 해석


    Stability of self-esteem has been conceptualized in terms of either long-term or short-term

    fluctuations.

    자존감의 안정은 장기적 변동과 단기적 변동 중 하나의 관점에서 개념화되어 왔다. 

     

    Viewed as long-term fluctuations, stability of self-esteem reflects change in an individual’s baseline level of self-esteem that occurs slowly and over and extended period of time.

    장기적 변동으로서 간주될 때 자존감의 안정은 느리게 긴 기간에 걸쳐 발생하는 개인의 기준선 수준의 자존감의 변화를 반영한다.

     

    For example, gradual change in self-esteem may occur over several years in response to academic or career success.

    예를 들어, 자존감의 점진적 변화는 학문 혹은 직업에서의 성공에 반응하여 여러 해에 걸쳐 일어날 수 있다. 

     

    Viewed as short-term fluctuations, stability of self-esteem reflects the magnitude of change in immediate contextually based self-esteem.

    단기적 변동으로서 간주될 때 자존감의 안정은 즉각적이고 상황에 근거한 자존감의 변화의 크기를 반영한다.

     

    Examples of short-term fluctuations are the temporary increases or decreases in self-esteem that people may experience in response to specific evaluative events.

     단기적 변동의 예에는 특정한 가치 평가 사건에 반응하여 체험할 수 있는 자존감의 일시적 증가나 감소가 있다. 

     

    It is crucial to distinguish between these two conceptualizations of self-esteem stability, because individuals may exhibit substantial short-term fluctuations while manifesting little or no long-term change in baseline self-esteem.

    이러한 자존감 안정의 두 가지 개념화를 구별하는 것은 아주 중요한데 그 이유는 개인들이 기준선 수준의 자존감의 장기적 변화는 거의 또는 전혀 드러내 보이지 않는 반면 단기적 변동은 상당히 많이 드러낼 수 있기 때문이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728x90
    반응형
Designed by Tistory.